광고 배너 이미지

일본, 오프라인 강국으로 다시 일어서다
30년대 시작된 대형유통 규제 도심 공동화 초래

발행 2018년 09월 14일

임경량기자 , lkr@apparelnews.co.kr

 

일본, 오프라인 강국으로 다시 일어서다

 

30년대 시작된 대형유통 규제 도심 공동화 초래

도심 재생 프로젝트, 규제 완화로 ‘쇼핑천국’ 되찾아

오프라인 유통, 콘텐츠 산업 활기 되찾으며 ‘재기’

 

유통업계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각광받는 복합쇼핑몰을 두고 한국과 일본의 유통정책 방향이 엇갈리고 있다.


소상공인 보호를 위해 대규모 복합쇼핑몰 사업 규제를 강화해 나가는 한국과 달리 이웃나라 일본은 오히려 규제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도심 재생 사업과 연결해 의류와 식품, 공예품 등 콘텐츠를 활용한 소매점 활성화 프로젝트도 크게 활기를 띠고 있다.


일본은 대형 쇼핑몰의 지역 상권 진출로 사회적 갈등을 빚고 있는 최근의 국내와 같은 상황을 일찍이 겪었다. 


주목할 점은 일본의 유통 정책이 단순히 대기업에 대한 견제가 아닌, 유통시장의 건전한 경쟁 관계를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진화해왔다는 점이다.


일본 역시 대규모 유통업체에 대한 규제를 시행했고 도심 공동화 현상이 심해지면서  지역주민들의 불편을 초래하자 출점 제한, 영업 시간 제한 등의 규제를 전면 해제했다.


일본에서는 1904년 개점한 미츠코시 백화점을 시작으로 대규모점포가 유통시장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당시 지역 상권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백화점을 규제하기 위해 1937년 일본 최초의 대형점포 규제법안인 ‘백화점법’이 탄생했다.


백화점법은 출점 허가제는 물론 영업시간 휴무일까지 규제해 지역 상권 보호에 초점을 맞췄다.


이후 확장된 대형점포법(일명 대점법)은 점포면적과 영업시간, 휴무일 등을 제한했으며 신규 출점 시에도 사실상 허가제인 사전심사신고제를 채택해 복합쇼핑몰의 영업을 크게 억제하는 법안이다.


현재 국내 정치권에서 잇달아 발의하고 있는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과 사실상 동일하다. 중소상공인 보호를 위해 복합쇼핑몰이 출점할 수 없는 전통상업보존구역의 범위를 확대하고 주말 의무휴일제 도입 등의 규제안도 포함돼 있다. 


주목할 점은 이 같은 강력한 대규모 점포 억제 정책이 일본에서는 오히려 역효과를 거뒀다는 점이다. 대점법의 규제를 피하기 위해 일본 유통 대기업들이 교외지역이나 주택 밀집구역에 대형 쇼핑시설을 출점하면서 오히려 소상공인이 몰려 있는 도심 상점가의 구매고객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대점법 적용 이후 대형소매점포가 교외로 빠져나가면서 중심시가지의 공동화 현상이 나타났고 이에 지역상점가를 찾는 소비자가 줄어들며 오히려 지역 상권도 피폐해지는 사회적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 편의에 대한 사회적 목소리가 커지고 일본 사회가 장기불황에 접어들면서 유통산업을 살리기 위한 규제 완화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대점법은 결국 폐지되고 새롭게 제정된 대규모소매입지법(대점입지법)이 2000년부터 시행됐다. 이후 일본 소매 경기는 점차 회복됐고 최근 전 세계 오프라인 리테일 시장에서 가장 다양한 포맷을 보유하고 있다. 대점범 폐지 후 일본의 오프라인 유통을 변화시킨 원동력은 무엇일까. 오래 전 사라진 유통 규제와 소비자 중심으로 진화된 소매업의 다양화를 꼽을 수 있다.

 
최근에는 규제 완화와 도시재생이 맞물리며 급성장한 일본 백화점과 복합쇼핑몰 등 대형 유통매장이 전 세계 쇼핑족을 끌어 모으고 있다.


여기에 각양각색의 라이프스타일숍과 셀렉트숍까지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상류층부터 가성비 제품을 찾는 대중을 아우르는 쇼핑천국이 됐다.


도쿄는 복합쇼핑몰과 라이프스타일숍을 통해 지역 향토음식과 공예품을 핵심 콘텐츠로 내세우며 관광객을 유인하고 있다. 
현지 보도에 따르면 도쿄나 오사카 등 대도시뿐 아니라 일본 구석구석을 여행하는 관광객들이 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  


그 중 일본 문화의 정수를 온몸으로 표현한 복합쇼핑몰 긴자식스가 대표적이다. 긴자식스에는 매일 초대형 관광버스가 유럽 관광객들을 실어 나른다. 건축물과 구조의 위용에 일단 감탄하고 나면 일본 장인들의 공예품을 전시하는 6층 츠타야 서점에서 일본 문화의 진수를 체험할 수 있다.


올해 열린 ‘긴자패션위크’는 미국 온라인 유통 공룡 아마존이 2년째 후원 중이다.


라쿠텐에 이어 일본 온라인 시장 점유율 2위인 아마존은 최근 홀푸드와 패션업체 인수로 현지 오프라인 확장에 열을 내고 있다.


일본 정부는 도쿄올림픽이 열리는 2020년까지 외국인 관광객 4천만 명이 9조원을 쓰고 가도록 한다는 목표를 설정해 두고 있다.


김인호 비즈니스인사이트 부회장은 “한국보다 앞서 대형유통과 소상공인 간의 갈등을 겪은 일본이 일방적인 대기업 규제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 상권과의 균형 발전을 도모한 융합 정책을 진화시켜 나갔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日 도심 재생 프로젝트

 

‘쇼핑몰’에서 답을 찾다

 

전 세계의 도시재생 전략은 ‘구도심(혹은 원도심)’에 맞춰져 있다.


도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외곽이 개발되고 이 과정에서 구도심이 쇠퇴·노령화되는 결과가 필연적으로 빚어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수도권만 놓고 봐도 분당·판교 등 외곽으로 도시가 확장된 반면 한때 가장 번성했던 옛 도시가 슬럼화 되어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국내 역시 원도심 도시재생 논의가 활발하다.


그동안 원도심 도시재생의 한 축이었던 재개발·재건축 등 대규모 개발 사업은 많은 부작용을 양산했다.  


일본이 도심재생에 성공한 요소 중 하나로 각종 쇼핑몰 있다. 낡고 버려진 도심을 쇼핑몰로 재생시킨 사례가 적지 않다.


일본 지자체들은 도시재생을 할 때 쇼핑몰 등 유통시설에 대해 용적률 상향 조정 등 각종 혜택을 제공한다. 


거대 유통시설의 파급효과는 상상 이상이다. 일례로 도쿄 역 우체국 건물은 라이프스타일 복합 쇼핑몰 ‘키테’로 탈바꿈해 도심에 활기를 불어 넣었다.


오사카시의 도시재상사업으로 관광명소가 된 쇼핑몰 ‘헵나비오’, ‘헵파이브’ 등은 한국 도심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모델이다.

현재 일본을 대표하는 쇼핑타운의 상당수는 도시재생에 의해 탄생했다. 도시재생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람을 끌어들이는 쇼핑몰이 핵심이다. 일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도시재생을 목적으로 한 유통시설에 대해서는 용적률 상향 등 각종 혜택을 아끼지 않는다.


일본의 내로라하는 대형 유통업체는 모두 진입해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도쿄와 오사카 등지의 경우 전통시장과 중소상인, 그리고 유통 업태 간 경쟁이 치열할 것처럼 보이지만 백화점과 쇼핑몰별로 각각 차별화된 특색을 갖고 있다.


하이엔드부터 대중 브랜드까지 공존하며 서로 고유 영역을 절묘하게 침범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들이 한곳에 밀집함에 따라 고객이 다른 지역으로 흩어지지 않고 집객력을 발휘하면서 시너지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과는 다른 모습이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일본 아베노믹스의 핵심 정책 중 하나가 도시재생과 연계한 복합쇼핑몰 개발이다. 상생을 앞세워 규제 정책에만 골몰하는 국내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기 버튼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지면 뉴스 보기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