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배너 이미지

유니클로, 유통사에 수수료 인하 요구

발행 2018년 11월 30일

오경천기자 , okc@apparelnews.co.kr

100~300평 매장 현행 수수료 10% 중반 대
유통사 “집객력 무시 못해, 대체 브랜드 없어”
업계 “유통사 효율 하락 일반 매장이 지게 될 것”

 

[어패럴뉴스 오경천 기자] 유통사들이 ‘유니클로’의 수수료 인하 요청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유니클로를 국내에 전개 중인 에프알엘코리아(대표 홍성호, 코사카타케시)는 재계약 시점이 다가오는 매장에 대해 유통사 측에 수수료 인하를 요구하고 나섰다.


유통사들과 유니클로 간 입점 계약기간은 통상 5~7년으로, 2011년 이후 오픈한 매장들의 재계약 시점이 도래하자 수수료 인하에 나선 것이다.


유니클로의 입점 수수료는 유통사별로 차이는 있지만 매출의 10% 초중반대로 알려진다. 국내 브랜드들의 수수료가 30% 초중반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대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니클로가 추가 수수료 인하를 요구하고 나서자 유통사들은 난감하다는 기색이 역력하다.


우선 롯데는 수락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유니클로의 국내 사업은 일본 본사인 패스트리테일링(51%)과 롯데쇼핑(49%)의 합작법인으로 각별한 관계다.


현대와 신세계 등 여타 유통사도 수락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업계는 보고있다. 유니클로가 사람들을 끌어 모으는 집객력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유니클로가 유통 점포에서 차지하는 매장 규모는 100평대에서 크게는 200~300평대에 이른다. 매출 규모는 연간 50~60억 원대. 웬만한 국내 브랜드 10개 매장 이상의 규모다.


반면 유통사의 수익적인 측면에서는 마이너스라는 지적이 크다. 한 유통사 관계자는 “매출이나 집객력에서는 뛰어나지만 수수료가 낮아 유통업체 입장에서는 오히려 마이너스인 점포도 많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를 대체할 자원은 이미 바닥이라는 것이 문제다. 유니클로를 비롯해 자라, H&M 등 대형 SPA들이 국내에 진출하면서 유통사들은 국내 브랜드들을 백화점 밖으로 밀어냈다.


때문에 국내 브랜드들의 사업 위축은 물론 신규 콘텐츠 기근 현상까지 일어났다. 유통사 입장에서는 유니클로, 자라, H&M을 대체할 자원이 턱없이 부족하다.


국내 패션 업체들은 유니클로의 수수료 인하 요청이 어떻게 받아들여 질지 주목하고 있다. 이로 인한 유통사들의 수익성 악화가 국내 업체들이 ‘짊어져야 할 짐’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 패션 업체 임원은 “과거 SPA와 스트리트 브랜드들이 낮은 수수료로 유통에 발을 들이면서 국내 업체들이 받은 실적 압박은 크다. 또 한 번의 압박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기 버튼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지면 뉴스 보기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