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배너 이미지

제화 업계 ‘대수술’ 착수
백화점 입지 축소 국내 생산 한계 직면

발행 2018년 11월 16일

박해영기자 , envy007@apparelnews.co.kr

외형·유통 축소하고 해외 소싱 이전 가속

 

[어패럴뉴스 박해영 기자] 제화 업계가 대수술에 착수했다.

 

수제화 살롱을 시작으로 수십 년간 국내 생산을 통해 시장을 키우고 유지해 온 제화 업계가 시대적 전환기를 맞아 외형 경쟁을 멈추고 내실 다지기로 돌아서는 모습이다.

 

제화 업계가 처한 환경변화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우선 핵심 유통인 백화점, 아울렛에서의 입지가 날로 축소되고 있다. 백화점 업계가 직접 PB 개발과 해외 브랜드 발굴에 뛰어들면서 기존 제화 조닝은 최근 2~3년 사이 그 규모가 20% 이상 줄었다.

 

여기에 분홍코끼리, 사뿐 등 중저가 온라인 브랜드를 백화점, 면세점이 적극 수용하면서 기성 제화 브랜드에 대한 가격 저항감이 커지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상반기 제화 공임 인상 파동을 겪은 업계는 하청 및 직영 공장의 공임 인상을 단행했다.

 

세라가 한 켤레당 공임비를 14,000원으로 인상한 것을 비롯 소다 15%를, 탠디와 미소페는 16,100원, 슈콤마보니는 15,000원으로 각각 올렸다. 직영 공장을 운영 중인 금강제화는 제화공들의 임금을 5.6% 인상했다.

 

더 큰 문제는 제화 업계의 근간이 되어 온 국내 소싱처가 붕괴 국면이라는 것이다. 이미 폐업한 성수동 구두 공장이 상당수인 가운데, 제화공들의 퇴직금 청구 소송이 이어지면서 폐업을 선택하는 공장들이 더 늘고 있다.

 

제화 업계 한 관계자는 “원부자재 소싱부터 생산 인프라까지 갖춰진 중국도 임금이 크게 오르면서 베트남에 밀려 공장 문을 닫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국내도 그와 비슷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요 업체 평균 연간 구두 생산량은 7만 켤레였던 것이 최근 2~3년 사이 6만 켤레로 줄었다. 수제화 업체의 순이익률은 1~2% 수준으로 떨어졌고 매출은 3년간 매년 5~20%씩 줄었다. 이에 따라 유력 업체들은 백화점 매장 축소, 해외 소싱 확대, 소싱처 이전 등에 서둘러 착수하고 있다.

 

‘탠디’는 종전의 유통망 유지 전략을 ‘축소’로 전환한다. 롯데 인천, 의정부, 안양 아울렛 등은 철수가 확정됐다. 효율 검토를 통해 추가 철수도 고려하고 있다.

 

‘세라’는 창업주부터 2세에 이르도록 유지해 온 성수동 본사의 이전을 결정했다. 이후 직영 공장 이전도 검토하고 있다. 또 수입화 비중을 늘리고 해외 소싱을 확대해 온라인 유통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소다’는 수입 상품 비중을 확대한 데 이어 유통망을 15%가량 줄인다는 방침을 수립했다.

 

‘미소페’도 수입 비중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이다. 종전 80%를 차지해 온 내수 생산을 줄이고 해외 직소싱 비중을 늘리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실제 슈즈 편집숍 ‘솔트앤초콜릿’은 유럽, 중국을 통해 직소싱한 상품을 공급한다.현대백화점과 협업해 올해 런칭한 ‘엠스타’, ‘미소페 뉴라운지’ 등은 수입 비중이 높다.

 

‘금강’은 최근 몇 년간 외형을 7~8%가량 축소했다. 국내 생산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이 회사는 해외 소싱을 위해 구축한 인도네시아 공장의 가용 물량을 늘려갈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기 버튼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지면 뉴스 보기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